이클립스 다운로드 : http://www.eclipse.org/downloads/
그림1에서 [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]를 클릭하며 그림2로 전환된다.
![]() |
그림1 |
그림2의 왼쪽에 이클립스의 여러 버전의 패키지가 릴리즈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.
Neon은 아직 배포 버전이 확정이 되지 않았다. 그래서 현재 배포판이 확정이 된 Mars를 선택하기로 한다.
릴리즈 리스트에서 [Mars Packages]를 클릭하면 그림3으로 전환된다.
※ 2006년부터 이클립스재단에서는 매년 6월 말에 새로운 버전을 발표할 때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묶어서 통합 발표한다. 이클립스 플랫폼 뿐만 아니라 관련된 프로젝트들을 묶어서 발표함으로써 동시다발적으로 개발되는 오픈소스의 특성 상 서로간의 버전 충돌이 일어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함이다.
최초 Calisto의 10개 프로젝트부터 시작하여 매 해마다 참여하는 프로젝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. 각 배포판의 이름은 초기에는 목성의 4대 위성 이름으로 결정되었고 최근에는 투표를 통해 결정한다.
배포판
|
배포일
|
플랫폼 버전
|
프로젝트명
|
참여 프로젝트
|
의미
|
Mars
|
2015년 6월 24일
|
4.5
|
79개
| ||
Luna
|
2014년 6월 25일
|
4.4
|
76개
| ||
Kepler
|
2013년 6월 26일
|
4.3
|
미정
| ||
Juno
|
2012년 6월 27일
|
4.2
|
미정
| ||
Indigo
|
2011년 6월 22일
|
3.7
|
62개
|
남색(H의 다음문자)
| |
Helios
|
2010년 6월 23일
|
3.6
|
39개
|
태양신
| |
Galileo
|
2009년 6월 24일
|
3.5
|
33개
|
목성 4대 위성의 발견자명
| |
Ganymede
|
2008년 6월 25일
|
3.4
|
23개
|
목성의 4대 위성 중 하나로 태양계 최대의 위성
| |
Europa
|
2007년 6월 29일
|
3.3
|
20개
|
목성의 4대 위성 중 하나
| |
Callisto
|
2006년 6월 30일
|
3.2
|
10개
|
목성의 4대 위성 중 하나
| |
Eclipse 3.1
|
28 June 2005
|
3.1
| |||
Eclipse 3.0
|
28 June 2004
|
3.0
|
츨처 : 위키백과
패키지 선택의 차이점은 기본적으로 어떤 플러그인이 설치 되어 있나의 차이이며, 필요한 플러그인은 이클립스 설치 후 다운로드하여 플러그 시킬 수 있다.
그림4에서 오른쪽에 Download Links에서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는 버전을 클릭한다.
![]() |
그림3 |
그림4에서 오른쪽에 Download Links에서 자신의 컴퓨터 환경에 맞는 버전을 클릭한다.
필자의 환경은 64bit임으로 [Windows 64-bit]를 클릭한다.
그림5에서 왼쪽의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며 그림6화면이 나타나면서 다운로드가 된다.
다운받은 그림7 의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압축을 푼다.
압축을 푼 디렉토리 하위에 [eclipse]를 복사하여 C나 D 디렉토리의 루트에 붙여넣기를 한다. 그림8 참조.
옮겨 놓은 디렉토리에서 eclipse.exe를 실행하면 그림9와 같이 구동이 된다.
만약 구동이 안되는 경우는 사전에 java 설치 및 환경변수 path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이다.
그림10은 워크스페이스, 즉 작업공간을 설정하는 화면이다. 워크스페이스는 작업별로 폴더를 설정하고 옮겨갈수 있다.
그림 12는 처음 설치 시 뜨는 페이지이다.이 페이지를 닫으면 이클립스 개발 환경이 시작된다. - 그림13
그림 13에서 메뉴 중에 [Window -> Preferences] 를 선택하면 그림14처럼 다이얼로그 창이 뜬다.
[General -> Workspace]로 들어가서 아래 부분에 [Text file encoding] 의 기본 문자 인코딩이 [Default (MS949)] 에서 [Other: UTF-8] 로 변경하고 Apply 버튼을 클릭한다.
그림15에서는 Java의 JDK 설치 환경변수에 대한 버전을 확인하는 과정이다.
[General -> Workspace -> JAVA -> Compiler] 에서 [Compiler compliance level] 을 확인한다.
그림 16에서는 JRE 설정을 확인한다.
[General -> Workspace -> JAVA -> Installed JREs]에서 그림과 같이 설정이 안되어 있을 경우는 [Add...] 버튼을 클릭하여 JRE가 설치된 경로를 지정해줘야 한다.
이로서 이클립스 설치 및 기본적인 환경 설정이 마무리 되었다.
![]() |
그림4 |
그림5에서 왼쪽의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며 그림6화면이 나타나면서 다운로드가 된다.
![]() |
그림5 |
![]() |
그림6 |
![]() |
그림7 |
![]() |
그림8 |
옮겨 놓은 디렉토리에서 eclipse.exe를 실행하면 그림9와 같이 구동이 된다.
만약 구동이 안되는 경우는 사전에 java 설치 및 환경변수 path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이다.
![]() |
그림9 |
![]() |
그림10 |
![]() |
그림11 |
![]() |
그림12 |
![]() |
그림13 |
![]() |
그림14 |
그림15에서는 Java의 JDK 설치 환경변수에 대한 버전을 확인하는 과정이다.
[General -> Workspace -> JAVA -> Compiler] 에서 [Compiler compliance level] 을 확인한다.
![]() |
그림15 |
그림 16에서는 JRE 설정을 확인한다.
[General -> Workspace -> JAVA -> Installed JREs]에서 그림과 같이 설정이 안되어 있을 경우는 [Add...] 버튼을 클릭하여 JRE가 설치된 경로를 지정해줘야 한다.
![]() |
그림16 |
댓글 없음:
댓글 쓰기